티스토리 뷰
반응형
Spring Boot 스케줄러 잡 중복 실행 방지 구현기
환경
- Spring Boot 3.2.1
- JPA/Hibernate
- MySQL
문제 상황
운영 환경에서 여러 서버 인스턴스가 동시에 실행될 때, 스케줄러 잡이 중복으로 실행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. 이는 데이터 일관성 문제와 리소스 낭비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.
해결 방안: 데이터베이스 기반 잡 락 시스템
1. 잡 상태 관리 엔티티
@Entity
@Getter
@NoArgsConstructor
@AllArgsConstructor
@Builder
public class ScheduleJobStatus {
@Id
@GeneratedValue(strategy = GenerationType.IDENTITY)
@Column(name = "id")
private Long id;
@Column(name = "job_name", length = 100, nullable = false, unique = true)
private String jobName;
@Column(name = "last_status", length = 20, nullable = false)
@Enumerated(EnumType.STRING)
@Builder.Default
@Setter
private JobStatus lastStatus = JobStatus.NOT_STARTED;
@Column(name = "last_executed_at")
@Setter
private LocalDateTime lastExecutedAt;
@CreationTimestamp
@Column(name = "created_at")
private LocalDateTime createdAt;
public enum JobStatus {
NOT_STARTED, // 대기 중
RUNNING, // 실행 중
COMPLETED, // 완료
FAILED // 실패
}
}
2. 잡 락 애노테이션
@Target(ElementType.METHOD)
@Retention(RetentionPolicy.RUNTIME)
public @interface JobLock {
String value() default "";
boolean throwOnLockFailure() default false;
}
3. 잡 락 매니저
@Service
@RequiredArgsConstructor
public class JobLockManager {
private final ScheduleJobStatusRepository scheduleJobStatusRepository;
public boolean acquireLock(String jobName) {
try {
log.info("=== Attempting to acquire lock for job: {} ===", jobName);
Optional<ScheduleJobStatus> existingJob =
scheduleJobStatusRepository.findByJobNameForUpdate(jobName);
if (existingJob.isPresent()) {
ScheduleJobStatus jobStatus = existingJob.get();
log.info("Found existing job status: {} - {}", jobName, jobStatus.getLastStatus());
// 이미 실행 중인 잡이 있는지 확인: 비정상적으로 종료됐을경우 Running 상태로 남아있을수 있다.
// 10분 이내라면 잡이 이미 실행 중이라고 판단하고 락 획득을 거부
if (jobStatus.getLastStatus() == ScheduleJobStatus.JobStatus.RUNNING) {
LocalDateTime tenMinutesAgo = LocalDateTime.now().minusMinutes(10);
if (jobStatus.getLastExecutedAt().isAfter(tenMinutesAgo)) {
log.warn("Job '{}' is already running (last executed at: {})",
jobName, jobStatus.getLastExecutedAt());
return false;
}
}
// 기존 잡이 완료/실패 상태라면 새로 시작
jobStatus.setLastStatus(ScheduleJobStatus.JobStatus.RUNNING);
jobStatus.setLastExecutedAt(LocalDateTime.now());
scheduleJobStatusRepository.save(jobStatus);
log.info("Job '{}' lock acquired (updated existing status)", jobName);
return true;
} else {
// 잡 상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(초기화되지 않은 잡)
log.error("Job '{}' status not found. Please ensure job is properly initialized.", jobName);
return false;
}
} catch (Exception e) {
log.info("Failed to acquire lock for job '{}'", jobName);
return false;
}
}
public void releaseLock(String jobName, boolean success, String errorMessage) {
try {
log.info("=== Releasing lock for job: {} (success: {}) ===", jobName, success);
Optional<ScheduleJobStatus> jobStatus =
scheduleJobStatusRepository.findByJobNameForUpdate(jobName);
if (jobStatus.isPresent()) {
ScheduleJobStatus status = jobStatus.get();
if (success) {
status.setLastStatus(ScheduleJobStatus.JobStatus.COMPLETED);
log.info("Job '{}' completed successfully", jobName);
} else {
status.setLastStatus(ScheduleJobStatus.JobStatus.FAILED);
log.info("Job '{}' failed: {}", jobName, errorMessage);
}
status.setLastExecutedAt(LocalDateTime.now());
scheduleJobStatusRepository.save(status);
} else {
log.warn("No job status found to release: '{}'", jobName);
}
} catch (Exception e) {
log.error("Failed to release lock for job '{}'", jobName, e);
}
}
}
4. AOP를 통한 자동 락 관리
@Aspect
@Component
@RequiredArgsConstructor
public class JobLockAspect {
private final JobLockManager jobLockManager;
@Around("@annotation(jobLock)")
public Object around(ProceedingJoinPoint joinPoint, JobLock jobLock) throws Throwable {
MethodSignature signature = (MethodSignature) joinPoint.getSignature();
Method method = signature.getMethod();
// 잡 이름 결정 (어노테이션 값이 있으면 사용, 없으면 메서드명 사용)
String jobName = jobLock.value().isEmpty() ? method.getName() : jobLock.value();
log.debug("Attempting to acquire lock for job: {}", jobName);
// 락 획득 시도
boolean lockAcquired = jobLockManager.acquireLock(jobName);
if (!lockAcquired) {
return null; // 조용히 무시
}
try {
log.info("Executing job: {}", jobName);
Object result = joinPoint.proceed();
jobLockManager.releaseLock(jobName, true, null);
log.info("Job '{}' completed successfully", jobName);
return result;
} catch (Exception e) {
String errorMessage = e.getMessage() != null ? e.getMessage() : e.getClass().getSimpleName();
jobLockManager.releaseLock(jobName, false, errorMessage);
log.error("Job '{}' failed: {}", jobName, errorMessage, e);
throw e;
}
}
}
5. 리포지토리 - 락 타임아웃 0초 설정
@Repository
public interface ScheduleJobStatus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<ScheduleJobStatus, Long> {
@Lock(LockModeType.PESSIMISTIC_WRITE)
@QueryHints({
@QueryHint(name = "jakarta.persistence.lock.timeout", value = "0")
})
@Query("SELECT sjs FROM ScheduleJobStatus sjs WHERE sjs.jobName = :jobName")
Optional<ScheduleJobStatus> findByJobNameForUpdate(@Param("jobName") String jobName);
}
6. 스케줄러 사용 예시
@Component
public class DataSyncScheduler {
@Scheduled(cron = "0 */5 * * * *")
@JobLock("data-sync-job")
@Transactional // 서비스 메서드 단위로 트랜잭션 관리
public void syncData() {
log.info("데이터 동기화 시작");
// 실제 작업 로직
log.info("데이터 동기화 완료");
}
}
7. 잡 락 테스트 예시
실제로 잡 락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해보겠습니다:
@Component
@RequiredArgsConstructor
public class JobLockTestScheduler {
@SneakyThrows
@Transactional
@Scheduled(cron = "*/5 * * * * *") // 5초마다 실행
@JobLock("job-lock-test")
public void test1() {
log.info("=== [TEST1] job-lock-test 선점 테스트 1 시작 (Thread: {}) ===",
Thread.currentThread().getName());
Thread.sleep(8000); // 8초 대기 (다음 실행과 겹치도록)
log.info("=== [TEST1] job-lock-test 선점 테스트 1 완료 ===");
}
@SneakyThrows
@Transactional
@Scheduled(cron = "*/5 * * * * *") // 5초마다 실행 (같은 시간에 실행되도록)
@JobLock("job-lock-test")
public void test2() {
log.info("=== [TEST2] job-lock-test 선점 테스트 2 시작 (Thread: {}) ===",
Thread.currentThread().getName());
Thread.sleep(2000); // 2초 대기
log.info("=== [TEST2] job-lock-test 선점 테스트 2 완료 ===");
}
}
8. 스레드 풀 설정의 중요성
초기 문제: 처음에는 잡 락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습니다. 이유는 Spring의 기본 스케줄러가 단일 스레드로 실행되기 때문이었습니다.
문제 상황: 단일 스레드에서는 스케줄러가 순차적으로 실행되므로, 같은 잡 이름을 가진 메서드들이 동시에 실행되지 않아 스레드 간 경합이 일어나지 않는 상황이었습니다.
# application.yml
spring:
task:
scheduling:
pool:
size: 10 # 스레드 풀 크기 설정
thread-name-prefix: "Scheduler-"
해결 후 결과:
=== [TEST1] job-lock-test 선점 테스트 1 시작 (Thread: Scheduler-1) ===
=== [TEST2] job-lock-test 선점 테스트 2 시작 (Thread: Scheduler-2) ===
Job 'job-lock-test' is already running
=== [TEST1] job-lock-test 선점 테스트 1 완료 ===
스레드 풀을 설정한 후에는 서로 다른 스레드에서 실행되어 정상적으로 락 경합이 발생했습니다.
핵심 포인트
1. 스레드 풀 설정
Spring의 기본 스케줄러는 단일 스레드로 실행되므로, 병렬 실행을 위해 스레드 풀을 설정해야 합니다.
spring:
task:
scheduling:
pool:
size: 10
thread-name-prefix: "Scheduler-"
2. 트랜잭션 관리
스케줄러 메서드에 @Transactional을 적용하여 서비스 메서드 단위로 트랜잭션을 관리합니다. 잡 락 매니저는 트랜잭션 애노테이션을 제거하고 호출하는 메서드의 트랜잭션에 참여하도록 합니다.
3. 비정상 종료 처리
10분 이내에 실행된 RUNNING 상태의 잡이 있으면 이미 실행 중으로 판단하여 락 획득을 거부합니다. 이를 통해 비정상 종료된 잡으로 인한 데드락을 방지합니다.
4. 락 타임아웃 0초
for update nowait을 사용하여 즉시 락 획득 실패 시 대기하지 않습니다.
결과
이 구현을 통해:
- ✅ 여러 서버 인스턴스에서 동일한 잡의 중복 실행 방지
- ✅ 데이터베이스 레벨에서의 안전한 락 관리
- ✅ 간단한 애노테이션으로 잡 락 적용
- ✅ 자동 상태 관리 및 에러 처리
운영 환경에서 안정적인 스케줄러 실행을 보장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반응형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Cloud CDN 연동 시 CORS 문제 해결: Fetch API와 이미지 태그 요청의 차이점 (0) | 2025.09.11 |
|---|---|
| [Spring Boot] CI/CD 환경에서 Firebase 인증 오류 해결기 (GcpFirestoreAutoConfiguration) (0) | 2025.09.09 |
| 🌱 Spring AI vs 🔗 LangChain4j: Java AI 프레임워크 전격 비교 (0) | 2025.08.27 |
| Spring MockMvc와 MockMvcTester 비교: 컨트롤러 테스트를 위한 두 가지 접근법 (1) | 2025.08.27 |
| Could not find org.ysb33r.gradle:grolifant (0) | 2022.11.09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Could not find org.ysb33r.gradle:grolifant:0.16.1
- PreflightRequest
- teefilter file upload error
- asciidoctorExtensions
- 톰캣 로그파일 자동 삭제
- CloudStorage
- RAG
- springai
- fetchapi
- sql import
- GcpFirestoreAutoConfiguration
- Controller Testing
- Job Lock
- mysql dump sql import
- spring test
- Spring Boot
- ContentCachingRequestWrapper caching # ContentCachingRequestWrapper file upload
- org.asciidoctor.jvm.convert
- asciidoctor sourceDir
- pessimistic lock
- Spring MockMvc
- 톰캣 로그파일 자동삭제
- url구조
- MockMvcTester
- Firebase 의존성 오류
- LangChain4j
- 멀티 인스턴스
- ContentCachingRequestWrapper caching error
- springboot
- CloudCDN
| 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||||||
| 2 | 3 | 4 | 5 | 6 | 7 | 8 |
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 29 |
| 30 |
반응형
글 보관함